일상생활정보

전자레인지 버리는 방법 – 무상 수거부터 스티커 배출까지, 가장 간단한 처리법 정리

kk449 2025. 5. 30. 19:11

전자레인지 버리는 방법 – 무상 수거부터 스티커 배출까지, 가장 간단한 처리법 정리

전자레인지가 고장 나서 더는 쓰지 못할 때,
"이걸 어디다 버려야 하지?" 고민되셨죠?
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불법이고,
분리수거함에 넣는 것도 안 되는 애매한 존재…
바로 전자레인지 같은 전기전자제품은 특별 폐기물로 분류되기 때문이에요.

이번 글에서는 전자레인지 폐기 방법을 블로그 스타일로
무상 수거 신청법부터 스티커 부착 배출,
작동 가능 시 나눔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전자레인지는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안 되는 이유

전자레인지는 내부에 금속, 전선, PCB 회로 등 복합 소재가 포함돼
생활폐기물이나 재활용품으로 분류되지 않고, 전기전자폐기물로 지정됩니다.
이를 무단 투기할 경우 10만 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.

그래서 꼭! 아래 방법 중 하나로 정식 배출해야 합니다.

 

① 무상 수거 서비스 – 가장 간단하고 비용 없는 방법

전자레인지는 환경부 공식 ‘폐가전제품 무상 수거 서비스’ 대상 품목입니다.
작동 여부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가정에서 무료 수거가 가능해요.

✔ 신청 방법

  • 접수 사이트: www.15990903.or.kr
  • 전화 신청도 가능: ☎ 1599-0903
  • 휴대폰이나 PC로 예약 후, 수거 기사님이 방문!

✔ 유의사항

  • 지역에 따라 전자레인지 단독 수거 가능 여부가 다를 수 있어요.
  • TV, 청소기, 밥솥 등 소형가전 여러 개 함께 수거하면 훨씬 원활하게 진행됩니다.
  • 반드시 제품이 통째로 있어야 하며, 분해된 제품은 수거 불가입니다.
 

② 대형폐기물 스티커 부착 – 무상 수거 어려울 경우

무상수거가 안 되거나, 단독주택/빌라 거주로 수거가 어려운 경우에는
지자체 대형폐기물 신고 후 스티커를 부착해 배출하면 됩니다.

✔ 신청 절차

  1. 각 구청/군청 대형폐기물 배출 홈페이지 접속
  2. ‘전자레인지’ 품목 선택, 수수료 결제
  3. 스티커 출력 또는 주민센터 수령
  4. 스티커를 제품에 부착 후 지정 장소에 배출

✔ 수수료는 얼마?

  • 대부분 지자체 기준으로 1,000원~3,000원 내외
  • 예: 평창군은 2,000원, 서울 강남구는 3,000원 선
  • 일부 지역은 모바일로 스티커 출력 가능 (QR 코드 방식)
 

③ 작동 가능한 전자레인지라면? 재활용도 가능해요!

고장이 아닌 단순 교체라면,
전자레인지를 중고로 판매하거나 무료 나눔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.

✔ 활용 플랫폼

  • 당근마켓, 번개장터, 중고나라
  • 동네 아파트 커뮤니티, 맘카페
  • 재활용센터나 복지기관에 기증도 가능

📌 단, 전자파 차단 필름 손상이나 찌든 때가 심한 경우는 재활용 어려움.


✅ 전자레인지 폐기 시 주의사항

  • 뚜껑/도어만 따로 버리는 행위는 불법
  • 배출 전 내부 음식물 잔여물이나 악취는 간단히 청소
  • 제품이 크고 무겁다면 수거 신청 시 반드시 위치 기입

전자레인지 폐기 방법 요약표

구분 방법 비용 추천 상황

무상 폐가전 수거 www.15990903.or.kr 접수 무료 아파트·공동주택 거주자, 여러 대 수거 시
대형폐기물 스티커 부착 지자체 배출 신청 + 스티커 부착 약 1,000~3,000원 단독주택, 빌라 거주자
중고판매 or 나눔 중고장터, 나눔 게시 무료 or 수익 작동 상태 양호한 경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