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혈압 응급조치 총정리: 갑작스런 어지럼증, 실신 대처법
**저혈압(Hypotension)**은 혈압 수치가 **정상보다 낮은 상태(보통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)**를 말하며, 갑작스러운 혈류 감소로 인해 어지럼증, 실신, 호흡곤란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특히 노약자나 기저질환자가 저혈압에 빠지면 뇌와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생명에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, 응급 상황 시 빠른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저혈압의 응급 증상, 즉시 대처법, 회복 후 관리 방법까지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.
1. 저혈압 주요 증상
증상 구분 구체적 증상
가벼운 증상 | 어지러움, 시야 흐림, 피로감, 집중력 저하, 식은땀, 손발 저림 |
중등도 증상 | 두근거림, 불안감, 메스꺼움, 기립 시 어지럼증(기립성 저혈압) |
응급 증상 | 실신(의식 소실), 맥박 약함, 창백함, 차가운 피부, 호흡 곤란, 혼수 상태 |
📌 특히 갑자기 앉았다가 일어나며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상은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적인 신호입니다.
2. 저혈압 응급조치 방법 (현장에서 할 수 있는 1차 대응)
✅ 1단계: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올려주세요
- 바닥 또는 침대에 바로 눕힘
- 다리를 심장보다 20~30cm 높이로 들어줌 → 뇌혈류 회복
- 너무 급하게 앉히거나 세우지 않도록 주의
✅ 2단계: 주변 환경 안전 확보
- 환자가 넘어지거나 다치지 않도록 바닥 정리
- 밀폐된 공간 또는 열기 많은 곳은 피함
- 외부일 경우 그늘, 시원한 곳으로 이동
✅ 3단계: 의식 확인 및 반응 살피기
- 이름 부르며 의식이 있는지 확인
- 맥박이 약하거나 느려지고, 호흡 불규칙한 경우 즉시 119 연락
✅ 4단계: 수분 섭취 가능 시 물 제공
- 환자가 의식이 있고 삼킬 수 있다면 천천히 물 제공
- 탈수나 과열에 의한 저혈압일 수 있으므로 미지근한 물이 가장 적절
✅ 5단계: 조여진 옷 풀어주기
- 허리띠, 목둘레, 타이트한 의류 풀어주기
- 호흡과 혈류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기
3.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하는 경우
- 5분 이상 의식 회복이 안 되는 경우
- 반복적으로 실신하거나 두통, 구토, 가슴통증 동반
- 심장질환, 당뇨, 고령자가 저혈압 증상을 호소할 때
- 맥박이 50회 미만이거나 호흡곤란 동반 시
- 뇌졸중, 심근경색 등 다른 응급질환이 의심되는 경우
📌 의심이 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119 응급 후송이 가장 안전합니다.
4. 저혈압 예방과 회복 관리
✅ 소량씩 자주 식사
→ 과식, 식후 급격한 혈압 저하 방지
✅ 기립 시 천천히 움직이기
→ 아침에 일어날 때는 누운 상태에서 다리 움직이고 천천히 일어남
✅ 수분 충분히 섭취
→ 하루 1.5~2L 이상 수분 유지 (카페인 음료는 피하기)
✅ 규칙적인 걷기 운동
→ 혈액순환 촉진, 심장 기능 향상
✅ 지속적인 저혈압 상태라면 내과 진료 후 약물치료 고려
5. 결론: 저혈압은 방치하면 실신·심장 쇼크 등 위험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
✔ 어지럼증이나 실신은 뇌혈류 부족 신호
✔ 가장 먼저 눕히고 다리를 들어 뇌로 혈액 공급
✔ 수분 제공, 옷 풀어주기, 시원한 환경 유지
✔ 고령자, 기저질환자, 반복 증상은 반드시 진료 필요
✔ 평소 충분한 수분과 천천히 움직이는 습관이 예방의 핵심
📌 “작은 어지럼이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, 정확한 응급조치 방법을 알고 대처하세요.”
'건강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맹장수술 후 회복기간 총정리: 수술 방식별 차이와 회복 중 주의사항 (0) | 2025.03.21 |
---|---|
역류성 후두염 증세 총정리: 단순 목 감기와 헷갈리기 쉬운 질환 (0) | 2025.03.21 |
복막염 증세 총정리: 초기 증상부터 응급 상황까지 정확히 알아두세요 (0) | 2025.03.21 |
이명(귀에서 삐 소리)의 원인과 치료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3.19 |
파킨슨병 초기증상: 알아두어야 할 주요 신호 (0) | 2025.03.18 |